이 블로그를 마지막으로 쓴 지 어느덧 4년이 흘렀다. 그 사이 참 많은 일이 있었다. 2018년 12월 아내와 결혼했고, 세 번의 이사를 했다. 2020년 7월에는 고양이 달구를 입양했고, 작년 8월에는 너무나 예쁜 딸을 얻었다.

 

하지만 같은 해 12월, 딸의 100일 잔치날. 침을 맞으러 간다던 아내는 한의사의 권유로 대학병원을 찾았고, 응급실 CT 결과 ‘췌장암 의심’이라는 소견을 들었다. 결국 췌장암 간 전이, 손쓸 수 없는 말기라는 확진으로 이어졌고, 소견을 들은 지 두 달 만에 아내는 멀리 여행을 떠났다.

 

그때 이후로 모든 게 무너졌다. 아직도 이게 현실인지 모르겠다. 수면장애, 우울증으로 정신과 다니며 약을 먹고 있다. 죽음을 생각한 적도 많았다. 정말 많이 했다. 하지만 먼저 떠난 아내, 그리고 아직 아무것도 모르는 딸을 생각하면 그건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언제쯤 괜찮아질지, 과연 괜찮아질 수는 있을지 모르겠다. 지금 이렇게 두서없이 쓰는 글처럼, 하루하루도 두서없이 흘러가고 있다. 그러다 문득 블로그를 다시 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고, 공부한 것들을 정리하고, 살아가며 느낀 것들, 그리고 아내와의 추억을 여기 남겨보고 싶어졌다.

 

지금 내가 정해둔 것은 단 한 가지다. “일단 계속 살아가보기로 했다.”

살아간다는 것은 곧 무언가를 하고, 그것을 흔적으로 남기는 일이다. 나는 그 흔적을 쌓아가려 한다. 그래서 오래전의 이름 ‘지속가능한 뻘짓’을 지우고, 이곳을 ‘act of doing’’이라 부르기로 했다. 더는 허망한 뻘짓이 아니라, 살아 있음의 증거로, 작은 발걸음의 기록으로 남기고 싶다.

 

언젠가 만날 아내에게 보여줄 날을 기다리며.

'살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습관  (0) 2020.01.14
옷 걸어놓기  (0) 2018.07.16
노트북  (0) 2018.06.19
디아블로2를 지웠다.  (0) 2018.01.07
시발비용  (0) 2017.12.12
Posted by 탄탄걸음

  2019년 중순, 변화하고 싶어서, 좋은 습관을 들이고 싶어서 이 책을 읽었다. 2020년 초에 한번 더 읽고 이 책에 대한 글을 썼고, 2021년이 반 이상 지난 지금, 이 책을 또 쭉 훑어봤다. 상당히 두께가 있는 책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사례위주였고, 중간중간 핵심 내용 요약도 있어서 편한 마음으로 책을 쭉쭉 읽어 내려갈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며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즉, 지속가능하게 뻘짓을 하는 행위가 말처럼 쉽지 않다는 점을 깨달았다. 작가 제임스 클리어의 표현에 따르면 호스가 휘어 제대로 물줄기가 나오지 않을때 물줄기를 더욱 강하게 하는 방법은 물을 더 많이 틀어 수압을 높이는 방법과 호스를 제대로 피는 두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어떤 방법이 더 쉬운지는 너무나도 분명하다. 즉, 좋은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의지로만 밀고 나가기 보다는 이를 위한 스스템과 환경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작가는 좋은 습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신호'는 분명하게, '열망'은 매력적이고 하기쉽게 그리고 만족스럽게 만들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심리학의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 중 '신호ㆍ열망ㆍ반응ㆍ보상' 습관모델을 행동변화법칙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책을 읽으며 특히 기억에 남는 문장들은 다음과 같다.

  - 1%의 성장은 눈에 띄지 않지만, 습관은 복리로 작용한다.

  -불행히도 변화는 느리게 일어난다.→ 낙담의 골짜기에 빠지지 말라

  -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

  - 목표를 높이지 말고 시스템 수준을 어렵지 않게 낮춰라

  - 정체성은 습관에서 나온다

  - 습관이 만들어지면 뇌활동은 감소한다. 습관은 자유를 제한하지 않는다.

  - 행동변화는 늘 인식에서 시작된다.

  - 확인하고 외치는 것은 행위를 마로 표현함으로써 무의식적 습관을 의식적 단계로 끌어올린다.

  - 습관이 언제 시작되는지 확실하지 않다면 매주ㆍ매월ㆍ매년 첫째날에 시도해보라. 새로운 출발은 동기를 일으킨다.

  - 환경이 행동을 결정한다.

  - 우리를 행동하게 만드는 것은 보상에 대한 예측이지, 보상의 실현이 아니다.

  - 차이를 만드는 것은 시간이 아닌 횟수다.

  - 2분 규칙 - 새로운 습관을 시작할 때는 그 일을 2분 이하로 하라 → 시작을 쉽게 하라

  - 나쁜 습관은 보상이 즉각적인 반명 결과는 나중에 발생한다. 좋은 습관은 이와 반대다. → 즉각적인 기쁨의 조각을 덧붙이자(클립전략)

  - 절대로 두번은 거르지 않는다.

  - 습관을 계속 유지하려면 즐거워야 한다.

  - 성공의 가장 큰 위협은 실패가 아니라 지루함이다. → 전문가는 스케줄을 꾸준히 따른다.

  - 정체성을 작게 유지하라 = Be flexible

  - 문제는 시스템이다. 늘 1% 더 나아지기 위해 방법을 찾아라.

 

말잔치로 끝나지 않기 위해 계속노력해야겠다. 일단 일주일에 한편씩 독서감상문을 올리는것부터 시작하겠다.

 

2020.1.27. 쓴글을 2021.6.16. 손봄.

Posted by 탄탄걸음

습관

살아가다2020. 1. 14. 12:00

2020년 새해에는 관성으로 사는 생활을 바꿔보려고 한다. 관성의 다른말은 타성이다. 좋은 습관을 들이는데 3개월의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3개월을 100일로 잡고 2020년 1월 14일 오늘부터 4월 22일까지 2가지 습관을 들여보려고 한다. 

 

첫번째는 매일 짧은 글을 쓰는 것이다. 내가 궁극적으로 하고 싶은 일은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줘서 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최종적으로는 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이야기를 하는 방법은 많다. 말로 이야기를 전달할 수도 있고, 사진으로 보여줄수도, 영상으로 보여주고 들려줄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이야기하기의 가장 기본은 글쓰기라고 생각한다. 그동안 이를 알고 있음에도 글을 열심히 쓰지 않았다. 이제부터라도 매일매일 글을 써서 이 블로그에 올려보련다.

 

두번째는 매일 3km 이상 달리기를 하는 것이다. 나는 아직 젊다. 하지만 더 어렸을때에 비해 확실히 체력이 더 빨리 떨어지고 몸에 살이 붙는 것이 느껴진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운동, 달리기를 매일 하려고 한다. 작년에도 가끔 매일 5km씩 달렸다. 그래도 30분 내외의 시간이 걸린다. 달리기를 하지 않을 핑계는 참 많다. 달리기는 미세먼지나 비, 눈과 같이 날씨의 영상을 많이 받는 운동이다. 다행히 직장에 러닝머신이 있다. 또한 비는 오히려 달리기를 더 즐겁게 만들어주는 요소다. 일단 3km 이상으로 목표를 잡았다. 그래도 가능하면 모든 달리기에서 5km를 뛰고싶다.

 

이외에도 일주일에 한편씩 유튜브 비디오 올리기, 일주일에 책 한권씩 읽기와 같은 습관을 가지고 싶다. 하지만 일단 매일 글쓰기와 매일 달리기 이렇게 두가지를 먼저 시작해보려고 한다. 2020년은 나에게 참 중요한 한해다. 몇년전부터 준비한 큰 목표를 잡아야 하는 한해다. 원하는 것을 성취하기 위해 작은 습관부터 잡아가야겠다. 어제보다 더 나은 내가 되겠다.

 

20.1.13.(월)

'살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단 계속 살아가보기로 했다  (2) 2025.08.27
옷 걸어놓기  (0) 2018.07.16
노트북  (0) 2018.06.19
디아블로2를 지웠다.  (0) 2018.01.07
시발비용  (0) 2017.12.12
Posted by 탄탄걸음